지금부터 PostgreSQL로 DB생성해보겠다.
먼저, 이전에 postgreSQL을 Docker에 설치해놓았기 때문에, Docker를 이용하여 PostgreSQL 실행한다.
1. 컨테이너 postgresql 에 접속하기
[CONTAINER ID]에는 내가 실행한 컨테이너 아이디를 입력한다.
이때, [CONTAINER ID]를 모르면 docker ps 라는 명령어로 확인한다
docker exec -it [CONTAINER ID] bash
컨테이너로 들어오면 맨 앞에가 root@[CONTAINER ID] 으로 바뀐다.
2. 위의 단계에서 컨테이너로 들어왔으면, psql을 이용해 [USER ID]에 postgres라고 치고 postgresql로 접속한다.
psql -U postgres
맨앞이 postgres=# 로 변경되면 성공적으로 접속된것을 알 수 있다.
3. 데이터베이스 생성하기
create database [DB명]; 을 입력하면 [DB명]대로 DB가 새롭게 생성된다.
create database test_1_db;
DB가 새로 생성되었는지 확인을 위해 \l (소문자L)을 친다.
왼쪽 하단에 test_1_db가 잘 생성된것을 확인가능하다.
4. DB 계정 생성 및 권한 설정
계정이름은 test_usr로 비밀번호는 test123으로 생성한다.
create role [user명] with login password [비밀번호];
create role test_usr with login password 'test123';
이후 생성한 user에 대한 권한을 준다.
4.1 데이터베이스 생성 권한
alter user test_usr with createdb;
4.2 superuser 권한
alter user test_usr with superuser;
4.3 test_1_db에 대한 접근권한
grant all privileges on database test_1_db to test_usr;
이렇게 하면 db 생성 및 권한 설정 완료이다
오늘은 세계 고양이의 날이니 고양이 사진으로 마치겠다.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QL] Docker 이용하여 postgres 설치하기 (0) | 2023.07.03 |
---|---|
[bash 에러] syntax error near unexpected tocken (0) | 2022.05.12 |
[Error Review] Oops! The 'vep' MultiQC module broke... (0) | 2022.04.26 |
[LINUX]Chef란 무엇인가? (1) | 2021.11.15 |